본문 바로가기

728x90
반응형

포스트

(443)
[JAVA강좌] 16강 조건문 - switch문 - switch문도 조건문 중 하나입니다. - if문처럼 사용할 수도 있겠지만 보통 조건이 범위가 있는 것보다 같다처럼 처리되는 경우에 많이 사용합니다. - 이번에는 switch문을 사용해서 조건별로 코드를 처리하는 법을 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switch 기본문법 - switch는 키워드(예약어)를 많이 사용합니다. - switch, case, break, default입니다. - 위의 4개는 변수명으로 작성하면 안되겠죠? 1) switch 기본문법 ## 문법 switch(변수 혹은 식) { case 값1: 변수 혹은 식이 값1과 맞는 경우 코드; break; case 값2: 변수 혹은 식이 값2가 맞는 경우 코드; break; default: 값1과 2와 모두 맞지 않는 경우 코드; break; }..
[JAVA강좌] 15강 조건문 if문 - 조건문이란 조건에 따라 다른 코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말합니다. - 이전에 배웠던 삼항연산자도 사실 조건문 개념이었던 거죠. - 예를 들어 점수가 80점 이상이면 합격이다! 라는 문장이 있다면 점수가 80점 이상이 조건입니다. - 합격이 그에 따른 결과가 되는 겁니다. - 오늘은 조건문 중에서 IF문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기본 if문 - if문 중 가장 기본이 되는 if문을 보도록 하겠습니다. - 조건이 맞으면 코드블록 { } 내부의 명령을 실행하는 구문입니다. 1) 기본 if문 문법 ## 문법 if(조건식) { 참일 때 코드; } - 그럼 위에서 봤던 점수가 80점이상이면 합격이다를 보도록 하겠습니다. 만일(점수가 80점이상이면){ 합격입니다; } - 이런 식으로 구현이 ..
[JAVA강좌] 14강 비트연산자와 연산자우선순위 - 우리가 기본 자료형 배울 때 비트와 바이트 개념을 봤습니다. - 잘 기억이 안나시는 분들은 아래 주소를 클릭해 주세요. https://ossam5.tistory.com/615?category=1196505 [JAVA강좌] 3강 기본자료형 - 정수관련 - byte, short, int, long - 이번 강좌에서는 기본 자료형 중 정수 관련을 보도록 하겠습니다. - 1강 변수 선언에서도 자료형 종류를 볼 때 바이트라는 개념을 적어드렸는데, 개념을 먼저 잡고 공부해 주세요. 정수형 문자 ossam5.tistory.com - 여태까지 배웠던 연산자들은 변수나 상수에 대한 연산이었습니다. - 이번에는 비트 값을 기반으로 하는 연산자를 소개하겠습니다. - 비트연산자는 비트단위로 연산이 이루어지는 연산자입니다...
[JAVA강좌] 13강 삼항연산자(조건처리연산자) - 삼항연산자는 항이 3개인 연산자입니다. - 앞에서 배웠던 연산자와는 다르게 조건문으로 보는 것이 좋습니다. - 이번 강좌에서는 true / false 결과에 따라 다른 결과를 주는 삼항연산자를 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삼항연산자 - 삼항연산자는 주어진 조건식이 참인 경우의 코드와 거짓인 코드를 나눠서 조건식에 따라 다른 결과를 줍니다. 조건식?참코드:거짓코드; - 문법은 위와 같은데 식(항)이 3개여서 삼항연산자입니다. - 매번 변수 값을 고정해서 결과를 봤었기 때문에 변수 값을 사용자에게 입력받는 것을 간단하게 배우고 삼항연산자를 보겠습니다. 1) Scanner 클래스 - Scanner 클래스는 사용자가 값을 입력하면 받아서 처리하는 클래스입니다. - 자바가 내장하고 있는 클래스로, 우린 아직 클래..
[JAVA강좌] 12강 관계연산자와 논리연산자 - 이번에 사용하는 연산자는 boolean과 관련된 연산자들입니다. - boolean은 결과값이 true 혹은 false를 담는 자료형입니다. - 이번 강좌에는 true 혹은 false로 처리가 가능한 관계연산자와 논리연산자를 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관계연산자 - 관계연산자는 좌변과 우변을 비교한다고 해서 비교연산자라고도 합니다. - 좌변과 우변값을 비교해서 맞으면 true를 반환하고 틀리면 false를 반환합니다. 1) 관계연산자 정리 연산자 설명 예시 > 좌변이 우변보다 크면 true를 반환,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 num > 10 >= 좌변이 우변보다 크거나 같으면 true를 반환,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 num >= 10 = num2)); //true System.out.pri..
[JAVA강좌] 11강 복합대입연산자와 증감연산자 - 이번에는 숫자 관련 연산자입니다. - 복합대입연산자는 기존 변수값에 사칙연산자를 처리해서 다시 대입하는 연산자입니다. - 증감연산자는 기존 변수값에 1씩 증가하거나 감소하게 하는 연산자입니다. - 이번 강좌에서는 복합대입연산자와 증감연산자를 정리해 보겠습니다. 1. 복합대입연산자 - 복합대입연산자란 산술연산자와 대입연산자를 합쳐서 만든 연산자입니다. - 그래서 좌변과 우변의 자료형이 전부 숫자관련 자료형이어야 합니다. - 예시로 보자면 더하기 연산자인 + 와 대입연산자인 = 를 합쳐서 만든 것입니다. - 그래서 += 로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. 이때 연산자 사이는 공백 없이 작성해야 합니다. - 더하기 대입연산자는 좌변의 변수에 우변의 값을 추가해서 대입합니다. - 기본적인 개념을 먼저 보고 가겠습니..
[JAVA강좌] 10강 연산자 개념과 산술연산자 - 연산자(operator)는 연산에 사용하는 기호를 말합니다. - 가장 쉽게 생각하면, 수학시간에 배운 더하기, 빼기, 곱하기, 나누기 등을 하는 기호입니다. - 컴퓨터 언어들이 다루는 연산자는 매우 많습니다. - 그래서 이번 강좌에서는 연산자의 개념과 사칙연산자만 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항과 연산자 - 연산자(Operator)는 위에서도 말했듯이 연산에 사용되는 기호입니다. - 항(Operand)은 연산에 사용되는 값입니다. - 예를 들어 3 + 5 라는 연산이 있다면 +는 연산자, 3과 5는 항입니다. - 연산자는 항의 개수에 따라 일항(단항)연산자, 이항연산자, 삼항연산자로 나눕니다. 연산자 설명 예시 일항 연산자 항이 한 개인 연산자 num++ 이항 연산자 항이 두 개인 연산자 num1 + n..
[JAVA강좌] 9강 자료 형변환 - 정수와 실수는 컴퓨터 내부에서 표현하는 방식이 전혀 다릅니다. - 따라서 정수와 실수를 더한다고 할 때 그대로 연산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. - 하나의 자료형으로 통일한 후 연산을 처리해줘야 합니다. - 이럴 때 자료 형변환(Type Conversion)을 해줘야 합니다. - 이번 강좌에서는 자료 형변환에 대해서 배워보도록 하겠습니다. - 형변환은 묵시적 형변환과 명시적 형변환으로 나뉘기 때문에 따로 보도록 하겠습니다. 1. 묵시적 형변환(자동 형변환) - 묵시적 형변환으로 자료형이 알아서 자동으로 변환되는 것을 말합니다. - 묵시적 형변환이 일어나는 기본 원칙이 2가지가 있습니다. 바이트 크기가 작은 자료형에서 큰 자료형으로 형 변환은 자동으로 일어남 덜 정밀한 자료형에서 더 정밀한 자료형으로 형변환..

728x90
반응형